건강한 손톱의 조건은 무엇일까
손톱은 우리 피부의 일부이며, 피부의 가장 끝인 각질층과 마찬가지입니다. 케라틴과 단백질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손톱은 하루에 평균 0.1mm 정도, 한 달에 3mm 정도 자라며, 낮 시간대나 따뜻한 여름에 더 잘 자랍니다.
약하고 지속적인 자극이 전해지는 경우에는 더 잘 자라기 때문에 자주 사용하는 손가락의 손톱이 더 빨리 자랍니다.
엄지보다는 검지나 중지가 더 빨리 자라는 것이지요.
평소에 손가락을 잘 사용하지 않거나 영양상태가 부족한 경우, 노인들은 손톱의 성장이 둔화되는 걸 볼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건강한 손톱의 조건은 연한 분홍빛이 돌고, 손톱 뿌리에 흰색의 반달 모양이 선명하게 보이는 것이 특징입니다. 손톱의 표면은 울퉁불퉁하지 않고 매끈해야 하며, 갈라지거나 찢어짐 없이 단단해야 합니다.
손톱으로 알 수 있는 여러 가지 징후들
현대사회에서 손톱은 여성의 아름다움을 나타내는 주요 부분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그러나 손톱이 우리 건강을 나타내는 신호인 것을 알고 계시나요? 문득, 평소와 달라 보이는 손톱이나 발톱은 주의를 기울이시는 게 좋습니다.
병원에 가서 의사와 상담해 보시는 게 가장 빠르고 확실한 방법이긴 하지만 바쁜 일상을 지내다 보면 병원에 가는 것조차 힘들 수 있으니 간단히 집에서 자가진단 할 수 있는 방법을 소개해드립니다. 준비물은 손톱만 있으면 됩니다!
손톱으로 알 수 있는 여러 가지 징후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첫째, 스트레스입니다. 손톱은 머리카락과 구성 성분이 거의 같습니다. 질병이나 장기간의 스트레스로 머리카락이 빠지는 것처럼 손톱에도 그런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경우에 스트레스로 인해 손톱에 세로줄이 생기곤 합니다.
둘째, 손톱 색깔의 변화입니다. 흰색 반점이 생기거나 검은색의 세로줄이 생긴다면 질병을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흰색 반점은 아연결핍의 원인이고, 검은 세로줄은 피부 속 멜라닌 세포가 변형되어 생긴 흑색종의 일종 일수 있습니다.
손톱이 투명한 흰색일 때는 빈혈일 가능성이 높으며, 손톱을 꾹 눌렀다가 손을 떼었을 때 2초 이내에 손톱의 혈색이 돌아오지 않는다면 모세 혈관에 피가 공급되지 않는 것이므로 간이 안 좋은 경우일 수 있습니다
셋째, 너무 얇거나 두꺼운 손톱도 조심해야 합니다. 너무 얇거나 자주 갈라지고 찢어지는 손톱은 단백질이나 철분 등의 영양소가 부족하기 때문입니다. 반대로 손톱이 너무 두꺼워지는 것은 무좀이나 건선일 확률이 높습니다. 건선은 염증성 피부 질환의 일종으로 손톱의 뿌리부터 건조해지면서 두껍고 울퉁불퉁하게 자라나게 됩니다. 일반적으로 손톱 두께가 0.5mm 이상이 되면 두꺼운 손톱으로 볼 수 있습니다.
넷째, 손톱에 물결무늬가 생깁니다. 아주 흔한 경우는 아니지만 손톱 표면에 물결무늬가 생겼다면 골다공증이나 관절염 같은 뼈와 관련된 질병을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뼈 건강의 적신호를 나타내는 경우이니 뼈에 좋은 칼슘을 충분히 보충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다섯째, 손톱이 피부와 분리됩니다. 손톱에 붙은 큐티클이나 피부조직이 벌어지는 경우가 생기는데 이것은 외부 자극에 의한 결과입니다. 특히 여자들의 경우에는 네일아트를 자주 하시는 분, 주방세제를 많이 쓰시는 분들에 해당됩니다. 분리되는 것에서 끝나지 않고 갈라지거나 여러 겹으로 나누어지면 갑상선 질환을 의심해 보아야 합니다.
손톱을 건강하게 유지하는 방법
앞서 말했듯이 손톱은 머리카락과 마찬가지로 케라틴, 단백질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손톱이 약하다고 느껴진다면 고기, 우유, 달걀 등 양질의 단백질을 꾸준히 섭취하시는 게 도움이 됩니다. 손톱이 건조하다고 느껴지거나 평소에 네일아트를 자주 하는 경우에는 손톱이 잘 부러지고 찢어질 수 있으니 손톱 전용 영양제를 바르시거나 핸드크림으로 수분과 영양을 충분히 공급해주시는 게 좋습니다.
깔끔하고 예뻐 보이기 위해 하는 큐티클 제거도 조심하시는 게 좋습니다. 과한 큐티클 관리는 오히려 세균이 침투하기 좋은 환경을 만들어주어 좋지 않습니다.
의사들은 손톱에 영향을 미치는 근본적인 상태를 예방하는 것이 항상 가능한 것은 아니지만 위의 관리방법으로도 충분히 손톱을 관리할 수 있다고 말합니다. 아주 작은 신호라도 놓치지 말고 주의하여 우리의 건강 상태를 파악하고 미리 예방할 수 있도록 합시다.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배의 효능과 배와 궁합이 좋은 식품들 (0) | 2022.10.10 |
---|---|
다크초콜릿,제대로 알고보니 효능부자 (0) | 2022.10.08 |
언제 어디서 찾아올지 모르는 공황장애 (0) | 2022.10.06 |
우리의 건강을 위협하는 수면장애 극복방법 (0) | 2022.10.05 |
가을철에 조심해야 할 질병들은 무엇이 있을까? (0) | 2022.10.04 |
댓글